‘절세의 왕도’로 떠오른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, 요즘 재테크 유튜버들도 다루고 있어서 관심 많으시죠?
그런데… 중개형, 서민형, 일반형…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합니다.
오늘은 헷갈리는 ISA의 종류, 개설 방법, 절세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
ISA는 여러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하면서, 일정 수익까지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통합 절세 계좌입니다.
ISA는 두 가지 기준으로 나뉘어요:
신탁형 | 은행이 운영 – 예금·펀드 위주 | ❌ 불가능 |
일임형 | 전문가가 운용 | ❌ 불가능 |
중개형 | 내가 직접 운용 – ETF·주식 가능 | ✅ 가능 |
📌 중개형 ISA는 ETF, 리츠, 국내 주식까지 직접 투자 가능!
👉 증권사에서만 개설할 수 있어요 (은행은 X)
서민형 ISA | 총급여 5,000만 원 이하 또는 종소 3,800만 원 이하 | 400만 원 |
일반형 ISA | 소득 기준 없음 | 200만 원 |
✔️ 중개형을 선택해도 내 소득이 낮으면 서민형, 아니면 일반형으로 자동 적용!
예를 들어 A씨가 증권사에서 중개형 ISA 계좌를 개설하면 ETF와 주식을 직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.
A씨의 연 소득이 4,800만 원이라면 → 서민형 중개형 ISA
A씨의 연 소득이 6,000만 원이라면 → 일반형 중개형 ISA
👉 계좌 유형은 “중개형”, 세제 혜택은 “서민형” or “일반형”으로 나뉘는 거죠!
💡 서민형 자격이 있는 분은 소득 확인 서류 (급여명세서, 소득금액증명 등) 제출 시 더 많은 비과세 혜택 가능!
📌 ETF, 리츠의 배당소득도 동일하게 과세되므로, 배당 중심의 전략을 짠다면 세후 수익률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📌 3년이라는 중장기적인 매집기간동안 배당금 과세이연이 되지 않는것은 어찌보면 치명적인 단점으로 보이기는 합니다.
ISA는 **형태(중개형/신탁형/일임형)**와 **혜택(서민형/일반형)**이 따로 나뉜다!
ETF 직접 투자 원하면 → “중개형” + 소득 따라 “서민형 or 일반형”
ISA는 처음엔 복잡하지만, 절세 효과는 꽤 강력합니다.
ISA 하나쯤은 꼭 활용해보시길 추천드려요 😊
댓글 영역